1과목.소프트웨어설계
💡 2021년06월
- 9 : 트랜잭션이 올바르게 처리되고 있는지 데이터를 감시하고 제어하는 미들웨어
=> TP monitor
- 12 : UML모델에서 사용하는 Structual Diagram에 속하는것
=> Class, Object, Component, Composite, Structure, Deployment, Package Diagram
- 15 : 공통 모듈에 대한 명세 기법 중 해당 기능에 대해 일관되게 이해 하고 한 가지로 해석될 수 있도록 작성하는 원칙
=> 명확성
💡 2021년08월
-
2 : 다음내용이 설명하는 디자인 패턴은?
- 객체를 생성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정의하여 어떤 클래스가 인스턴스화 될 것인지는 서브 클래스가 결정하도록 하는것 - Virtuai-Constructor 패턴이라고도 함
=> Factory Method 패턴
- 6 : UML에서 시퀀스 다이어그램의 구성 항목
=> 라이프라인(생명선), 실행(액터), 메시지, 활성 객체(object), 제어삼각형
- 7 : 객체지향에서 정보은닉과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는것
=> Encapsulation : 다른객체에게 자신의 정보를 숨기고 자신의 연산만을 통해 접근을 허용
-
8 : 디자인패턴 중 행위적 패턴
=> 커맨드(Command) , 옵저버(Observer), 상태(State), 책임연쇄(Chain), 인터프리터(Interpreter), 반복자(Iterator), 중재자(Mediator), 메멘토(Memonto), 전략(Strategy), 템플릿 메소드(template Method), 방문자(Visitor) ** 프로토타입 : 생성패턴
-
11 : ()안에 들어갈 내용
- 컴포넌트 설계 시( ) 에 의한 설계 를 따를 경우 해당명세서에는 (1) 컴포넌트의 오퍼레이션을 사용전에 참이 되어야 할 "선행조건" (2) 사용 후 만족되어야 할 "결과조건" (3) 오퍼레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항상 만족되어야 할 "불변조건" 등이 포함되어야 한다
=> 협약 (Contract) : 클래스에 대한 여러 가정을 공유하도록 명세한 것
- 13 : 객제 지향 SW공학에서 하나이상의 유사한 객체들을 묶어서 하나의 공통된 특성을 표현한 것
=> 클래스 : 공통된 속성과 연산(행위)를 갖는 객체의 집합, 객체의 일반적인 타입(Type)을 의미하고 동일클래스에 속한 각각의 객체들은 공통된 속성과 행위를 가지고 있다
- 14 : UML 모델의 일반화
=> 하나의 사물이 다른 사물에 비해 더 일반적인지 구체적인지 표현 일반적이 개념을 상위, 구체적인 개념을 하위라고 한다 하위 사물에서 상위 사물쪽으로 속이 빈 화살표를 연결한다
-
17 : 객제지향 설계 원칙 중 서브타입(상속받은 하위클래스)은 어디에서나 자신의 기반타입(상위클래스)으로 교체할 수 있어야 함을 의미하는 원칙
=> LSP(Liskov Subsitution Principle) : 리스코프 치환 원칙 -> 일반화 관계: 자식클래스는 최소한 자신의 부모 글래스에서 가능한 행위는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
-
20 : 인터페이스 요구 사항 검토 방법
- 동료검토 : 요구사항 명세서 작성자가 요구사항 명세서를 설명하고 이해관계자들이 설명을 들으면서 결함을 발견 - 워크스루 : 검토회의 전 명세서를 미리 배포하여 사전검토 후 짧은 검토회의를 통해 결함 발견 - 인스펙션 : 요구사항 명세서 작성자를 제외한 다른 검토 전문가들이 명세서를 확인하면서 결함 발견
💡 2021년09월
-
2 : 럼바우 객체지향 분석 기법에서 동적모델링에 활용되는 다이어그램
=> 상태 다이어그램(State Diagram) - 동적모델링(Dynamic Modeling) : 상태 다이어그램(상태도)를 이용해 시간흐름에 따른 객체들 간의 제어흐름, 상호작용,동작순서 등의 동적인 행위를 표현하는 모델링을 말한다
-
5 : 다음이 설명하는 객체지향 설계 원칙
- 클라이언트는 자신이 사용하지 않는 메서드와 의존관계를 맺으면 안 된다 - 클라이언트가 사용하지 않는 인터페이스 때문에 영향을 받아서는 안 된다
=> 인터페이스 분리 원칙
- 6 : 파이프 필터 형태의 소프트웨어 아키텍처에 대한 설명
=> 서브시스템이 입력시스템을 받아 처리하고 결과를 다음 서브시스템으로 넘겨주는 과정을 반복한다 데이터 스트림 절차의 각 단계를 필터 검포넌트로 캡슐화 하여 파이프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패턴
- 7 : 코드화 대상 항목의 중량,면적,용량 등의 물리적 수치를 이용하여 만든 코드
=> 표의 숫자 코드
- 8: 디자인 패턴 사용의 장.단점에 대한 설명
=> SW 구조 파악이 용이하다, 객체지향 설계 및 구현의 생산성을 높이는데 적합하다,재사용을 위한 개발시간이 단축된다,객체지향 설계/구현에 많이 사용된다
- 9: DFD(data flow diagram) 에 대한 설명
=> 자료 흐름 그래프 또는 버블차트 라고도 한다,구조적 분석 기법에 이용된다, DFD의 요소는 화살표,원,사각형,직선(단선/이중선)으로 표시한다,자료에 대한 흐름을 표현한다, 시간흐름을 명확하게 표현 할 수 없다
- 12 : 소프트웨어의 상위설계에 속하는것
=> 아키텍처 설계, 인터페이스 정의,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계,시스템 분할,데이터 설계
- 14 : 소프트웨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개발시스템(User Interface Development System)이 가져야할 기능
=> 사용자 입력의 검증,에러처리와 에러메시지 처리, 도움과 프롬프트 제공
- 15 : 요구사항 명세기법에 대한 설명
=> 비정형 명세기법은 사용자의 요구를 쵸현할 때 자연어 기반으로 서술한다,상태/기능/객체 중심 명세법, 정형명세기법은 사용자의 요구를 쵸현할 때 수학적인 원리와 표기법을 이용한다, 정형명세기법은 비정형 명세기법에 비해 표현이 간결하다
- 16 : 소프트웨어 개발단계에서 요구분석 과정에 대한 설명
=> 분석 결과의 문서화를 통해 향후 유지보수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, 자료흐름도,자료사전 등이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, 보다 구체적인 명세를 위해 소단위 명세서(Mini-Spec)가 활용될 수 있다,
- 17 : 애자일 방법론에 해당하는 것
=> 기능중심 개발, 스크럼, 익스트림 프로그래밍,익스트림 모델링, 크리스털 패밀리
2과목.소프트웨어 개발
💡 2021년06월
- 22 : White Box Testing 에 대한 설명
=> Source Code의 모든 문장을 한번 이상 수행함으로서 진행된다, 모듈안의 작동을 직접 관찬할 수 있다, 산출물의 각 기능별로 적절한 프로그램의 제어구조에 따라 선택/반복 등의 부분들을 수행함으로써 논리적 경로를 점검한다, 종류 : Condition,Loop, Data Flow Testing
- 25 : EAI(Enterprise Application Integration)의 구축 유형
=> Point-to-Point , Hub-Spoke, Message Bus, Hybrid
- 29 : 반정규화(Denormalization) 유형중 중복테이블을 추가하는 방법
=> 집계, 진행, 특정부분만을 포함하는 테이블의 추가
- 30 : ISO/IEC 9126의 소프트웨어 품질 득성 중 기능성(Functionlity)의 하위특성
=> 적합성, 정확성, 보안성, 상호운용성, 준수성
- 34 : 소프트웨어 형상관리의 의미
=> 개발과정에서 소프트웨어의 변경사항을 관리하기 위해 개발된 일련의 활동
💡 2021년08월
- 28 : 형상관리 도구의 주요 기능
=>체크인(Check-in), 체크아웃(Check-out), 커밋(commit), 저장소(Tepository), 가져오기(import), 동기화(Update)
- 30 : 소프트웨어 품질 목표 중 주어진 시간동안 주어진 기능을 오류없이 수행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것
=> 신뢰성
- 31 : 알고리즘 설계 기법
=> Divide and Conquer(분할 정복 알고리즘) , Greedy(탐욕 알고리즘), Backtracking(모든 조함 시도하여 문제의 답을 찾는 알고리즘)
- 32 : 제품 소프ㅡ웨어의 형상관리 역할
=> 형상관리를 통해 이전 리버전이나 버전에 대한 정보에 접근 가능하여 배포본 관리에 유용, 불필요한 사용자의 소스 수정 제한, 동일한 프로젝트에 대해 여러 개발자 동시 개발 가능, 개발 비용은 관리하지 않는다
- 34 : 디지털 저작권 관리(DRM) 기술
=> 콘텐츠 암호화 및 키 관리, 콘텐츠 식별 체계 표현, 라이센스 발급 및 관리, 크랙방지, 인증, 정책관리,저작권표현
- 35 : 물리데이터 저장소의 파티션 설계에서 파티션 유형
=> 범위(Range), 해시(Hash), 조합(Composite) 분할
💡 2021년09월
- 29 : 인터페이스 구현 검증 도구
=> xUnit, STAF, STAF, FitNesse, Selerium, Watir
- 33 : n개의 노드로 구성된 무방향 그래프의 최대 간선수
=> n(n-1)/2
-
34 : 다음이 설명하는 테스트 용어
- 테스트의 결가 참인지 거짓인지 판탄하기 위해 사전에 정의된 참값을 입력하여 비교하는 기법 및 활동 - 종류에는 참, 샘플링, 휴리스틱, 일관성 검사가 존재한다
=> 테스트 오라클
-
35 : 빌드 자동화 도구에 대한 설명
=> Gradle은 실행할 처리 명령들을 모아 태스크로 만든 후 태스크 단위로 실행한다, 빌드 자동화 도구는 지속적인 통합개발환경에서 유용하게 활용된다, 빌드 자동화 도구에는 Ant, Gradle, Jenkins등이 있다 빌드 자동화 도구 : 빌드를 초함하여 테스트 및 배포를 자동화 하는 도구, Jenkins : JAVA기반의 오픈소스 형태
3과목.데이터베이스 구축
💡 2021년06월
- 43 : 데이터 무결성 제약조건 중 “개체 무결성 제약” 조건에 대한 설명
=> 기본키에 속해 있는 애트리뷰트는 널값이나 중복값을 가질 수 없다
- 46 :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 설계(logical design)단계에서 수행하는 작업
=> 논리적 데이터베이스 구조로 매핑, 트랜잭션 인터페이스 설계, 스키마의 평가 및 정제, 개념 스미카 평가 및 정제하고 DBMS에 따라 서로 다른 논리적 스키마를 설계하는 단계
- 48 : 하나의 애트리뷰트가 가질 수 있는 원자값들의 집합
=> 도메인 : 같은 도메인의 값들끼리 비교가 허용된다
- 58 : E-R모델의 표현 방법
=> 개체타입:사각형, 관계타입:마름모, 연결:선, 속성:타원
- 60 : 정규화 과정중 1NF에서 2NF가 되기 위한 조건
=> 1NF를 만족하고 키가 아닌 모든 속성이 기본키에 대하여 완전 함수적 종속 관계를 만족해야 한다
💡 2021년08월
- 41 : 릴레이션 R의 모든 결정자(determinant)가 후보키이면 그 릴레이션 R은 어떤 정규형에 속하는가?
=> 보이스/코드 정규형 : 모든 결정자가 후보키인 상태
- 44 : SQL 문
=> DISTINCT : 중복 튜플 발견시 첫번째 하나만 검색
- 45 : DCL(Data Control Language) 명령어
=> COMMIT, ROLLBACK, GRANT, REVOKE
- 49 : 분산 데이터베이스의 투명성(Transparency)에 해당하는 것
=> Location(위치), Replication(중복), Failure(장애), Concurrency(병행)
- 60 : 릴레이션에 대한 설명
=> 튜플들의 삽입/삭제 등의 작업으로 인해 릴레이션은 시간에 따라 변한다, 한 릴레이션에 포함된 튜플들은 모두 상이하다, 애트리뷰트는 논리적으로 쪼갤 수 없는 원자값으로 저장한다, 튜플 사이에는 순서가 없다
💡 2021년09월
- 42 : 데이터베이스에 영향을주는 생성/읽기/갱신/삭제 연산으로 프로세스와 테이블 간에 매트릭스를 만들어 트랜잭션을 분석하는 것
=> CRUD분석 : Creat Read Update Delete 의 영어 앞글자를 모아 만든 용어
- 44 : 학생테이블을 생성한 후 성별 필드가 누락되어 이를 추가 하려고 한다 이에 적합한 SQL명령어
=> ALTER
-
47 : 다음 SQL문에서 빈칸에 들어갈 내용
- UPDATE 회원 ( ) 전화번호 = '010-14' WHERE 회원번호 = 'N4'
=> SET
- 48 : 릴레이션에 있는 모든 튜플에 대해 유일성은 만족시키지만 최소성은 만족시키지 못하는 키
=> 슈퍼키
-
49 : DBA가 사용자 PARK에게 테이블[STUDENT]의 데이터를 갱신할 수 있는 시스템 권한을 부여하고자 하는 SQL문을 작성하고자 한다 다음에 주어진 SQL문의 빈칸을 알맞게 채워라
- SQL>GRANT ( ) ( ) STUDENT TO PARK
=> UPDATE,ON
- 52 : 로킹(Locking)기법에 대한 설명
=> 로킹의 대상이 되는 객체의 크기를 로킹 단위라고한다, 데이터베이스도 로킹 단위가 될 수있다, 로킹단위가 커지면 로크 수가 작아 로킹 오버헤드가 감소한다, 로킹단위가 작아지면 병행성 수준이 높아진다
- 54 : 뷰(VIEW) 에 대한 설명
=> 뷰 위에 또다른 뷰를 정의할 수 있다, 뷰에 다른 조작에서 삽입/갱신/삭제 연산은 제약이 따른다, 뷰가 정의된 기본 테이블이 제거되면 뷰도 자동적으로 제거된다, 뷰의 정의를 변경하려면 뷰를 삭제하고 재생성 해야 된다
- 56 : 제 3정규형에서 보이스코드 정규형(BCNF)으로 정규화 하기 위한 작업
=> 결정자가 후보키가 아닌 함수 종속 제거
- 58 : 데이터베이스 설계 시 물리적 설계 단계에서 수행하는 사항
=> 저장 레코드 양식 설계, 레코드 집중의 분석 및 설계, 접근 경로 설계
- 59 : 한 릴레이션의 스키마가 4개 속성, 2개 후보키,스키마의 대응릴레이션 인스턴스 7개 튜플을 갖는다면 릴레이션의 차수(degree)는?
=> 4 : degree => 속성의 수
- 60 : 데이터웨어하우스의 기본적인 OSAP(on-line analytical processing)연산
=> roll-up, drill-down & up, slicing & dicing, drill-up, prvot, drill- through