4과목.프로그래밍 언어 활용
💡 2021년06월
-
63 : TCP/IP 프로토콜 중 전송계층 프로토콜 => TCP
- 64 : 시스템에서 모듈사이의 결합도(Coupling)에 대한 설명 => 모듈간의 결합도를 약하게 하면 모듈 독립성이 향상된다
- 67 : 교착 상태 발생의 필요 충분조건 => 상호배제(mutual exclusion), 점유와 대기(hold and wait), 환형 대기(circular wait), 비선점(non-preemption)
- 71 : 프로세스 상태의 종류 => Ready(준비), Running(실행), Exit(종료), pending(보류), blocked(대기),deadlock(교착), terminated(완료)
💡 2021년08월
- 69 : TCP 프로토콜에 대한 설명 => 신뢰성있는 연결 지향형 전달서비스 이다, 스크림 전송기능을 제공한다, 순서/오류/흐름 제어 기능을 제공한다, 기본 헤더크기는 최소 20byte 푀대 60byte/헤더에 옵션값 포함시 최대 40byte추가 가능하다
- 71 : OSI-7Layer에서 링크의 설정과 유지 및 종료를 담당하며 노드간의 오류,후룸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계층 => 데이터링크 계층 : 흐름제어 : 송수신측 속도차이 해결, 오류제어 : 오류검출과 회복, 제어기능 : 프레임 순서적 전송, 동기화 기능 : 프레임 시작 및 끝 구분
- 72 : 결합도 약한 to 강한 순서 => 1.자료(data) -> 2.스탬프(stamp) -> 3. 제어(Control) -> 4.외부(External) -> 5. 공통(Common) -> 6.내용(Content)
- 74 : 200.1.1.0/24 네트워크를 FLSM방식을 이용하여 10개의 subnet으로 나누고 ip subnet-zero를 적용했다 이때 서브네팅된 네트워크 중 10번째 네트워크의 broadcast IP주소는? => 200.1.1.159
- 77 : 어떤 모듈이 다른 모듈의 내부 논리 조직을 제어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어신호를 이요하여 통신하는 경우 이며, 하위 모듈에서 상위 모듈로 제어신호가 이동하여 상위모듈에게 처리 명령을 부여하는 관리 전도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결합도 => control coupling(제어결합도)
- 79 : UNIX에서 새로운 프로세스를 생성하는 명령어 => fork , is : 디렉토리나 파일목록 출력, cat : 파일 내용출력, chmod : 파일이나 디렉토리에 대한 접근권한 변경
💡 2021년09월
- 61 : UNIX SHELL 환경변수를 출력하는 명령어 => env, printenv, setenv
- 62 : Java프로그래밍 언어의 정수 데이터 타입중 long의 크기 => 8byte
- 65 : OSI 7계층에서 단말기 사이에 오류 수정과 흐름제어를 수행하여 신뢰성 있고 명확한 데이터를 전달하는 계층 => 전송계층
- 72 : TCP흐름제어 기법 중 프레임이 손실되었을 떄 손실된 프레임 1개를 전송하고, 수신자의 응답을 기다리는 방식으로 한번에 프레임 1개만 전송할 수 있는 기법 => Stop and Wait (정지 및 대기)
- 73 : 결합도(Coupling)에 대한 설명 => 내용결합도(Content Coupling)는 하나의 모듈이 직접적으로 다른모듈의 내용을 참조할 때 두 모듈은 내용적으로 결합되어 있다고한다, 공통 결합도(Common Coupling는 두 모듈이 동일한 전역 데이터를 접근한다면 공통결합 되어있다고한다, 스탬프 결합도(Stamp Coupling)는 두 모듈이 매개변수로 자료를 전달할때 자료구조형태로 전달되어 이용될 때 데이터가 결합되어있다고 한다 => 두 모듈이 동일한 자료구조를 조회한다 결합도(Coupling)는 두 모듈간의 상호작용, 또는 의존도 정도를 나타내는것이다
- 76 : UDP(User Datagram Protocol) - TCP/IP 의 전송계층 프로토콜 의 특성 => 흐름제어나 순서제어가 없어 전송속도가 빠르다, 비연결성 서비스를 제공한다, 단순한 헤더구조로 오버헤드가 적다, 사용하는 경우 : 빠른속도로 전송 요구시, 동시에 여러 사용자에게 데이터 전달시, 반복적 전송 실시간 전송에 유리하며 신뢰성보다 속도가 중요시 되는 네트워크에 사용한다
- 80 : PHP에서 사용가능한 연산자 => @ : 에러제어, < > : 관계연산자, === : 관계연산자 ** #은 사용 불가
5과목.정보시스템 구축관리
💡 2021년06월
- 91 : 프로토타입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최종 소프트웨어 개발까지 이르는 개발방법으로 위험관리가 중심인 소프트웨어 생명주기 모형 => 나선형 모형 : 점진적모형, 위험을 관리 및 최소화 하는것이 목적, 유지보수가 필요없다
💡 2021년08월
- 81 : 물리적인 사물과 컴퓨터에 동일하게 표현되는 가상의 모델로 실제 물리적인 자산 대신 소프트웨어로 가상화함으로써 실제 자산의 특성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자산최적화,돌발사고 최소화, 생산성 증가 등 설계부터 제조, 서비스에 이르는 모든 과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모델 => 디지털 트윈 : 미국 제너럴 일렉영이 주장한 개념, 컴퓨터에 현실 속 사물의 쌍둥이를 가상화 하여 만들고, 현실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을 컴퓨터로 시뮬레이션 함으로써 결과를 미리 예측하는 기술
- 84 : 기능점수(Functional Point) 모형에서 비용산정에 이용되는 요소 => 명령어(사용자 질의수), 데이터파일,출력보고서(정보 출력), 필요한 외부 루틴과의 인터페이스
- 90 : 기존 무선랜의 한계 극복을 위해 등장, 대규모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생성에 최적화 되어 차세대 이동통신,홈 네트워킹, 공공네트워킹,공공 안전 등의 특수목적을 위한 새로운 방식의 네트워크 기술 => Mesh Network
- 91 : DDoS 공격과 연관이 있는 공격 방법 => Tribe Flood Network(TFN), Trin00, TFN2K, Stacheldraht ** DDoS : 네트워크 취약점이 있는 호스트들을 탐색한 후 이를 호스트들에 분산 서비스 공격용 툴을 설치하여 에이전트로 만든후 DDoS공격에 이용한다
- 92 : 임계경로 => 작업의 시작 및 종료 구간이 동시에 이루어질 때 가장 오래걸리는 경로 CMP : 노드와 간선으로 이루어진 네트워크
- 97 : 하드코드된 안호화 키 사용의 문제점 => 소스코드 내부에 암호화 키를 상수형태로 하드코딩하여 사용하면 악의적인 공격자에게 암호화 키가 노출될 위협이 있다
- 99 : 실무적으로 검증되 ㄴ개발보안 방법론 중 하나로써 Sw보안의 모범 사례를 SDLC(Softwar Debelopment Life Cycle)에 통합한 소프트웨어 개발 보안 생명주기 방법론 => Seven Touchpoints : 각 단계에 관련된 7가지 의 보안 강화 활동을 개발자에게 집중적으로 관리하도록 요구하여 실무적으로 검증된 개발보안 방법론이다
💡 2021년09월
-
85 : 다음 내용이 설명하는 스토리지 시스템
- 하드디스크와 같은 데이터 저장장치를 호스트 버스 어댑터에 직접 연결하는 방식 - 저장장치와 호스트 기기 사이에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이씾 말아야 하고 직접 연결하는 방식으로 구성 => DAS : Direct Attached Storage
- 87 : SoftTech사에서 개발된 것으로 구조적 요구 분석을 하기 위해 블록다이어그램을 채택한 자동화 도구 => SADT
- 91 : 소프트웨어 비용 추정모형(estimation models) => COCOMO, Putnam, Function-Point
- 94 : 웹페이지에 악의적인 스크립트를 포함시켜 사용자 측에서 실해오디게 유도함으로써,정보유출 등의 공격을 유발할 수 있는 취약점 => XSS
- 95 : CBD(Component Based Develpment) 에 대한 설명 => 개발 기간 단축으로 인한 생산성 향상, 새로운 기능 추가가 쉬운 확장성, 소프트웨어 재사용 가능 기존의 시스템이나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컴포넌트를 조립하여 새로운 응용프로그램을 만드는 SW개발 방법론
-
99 : 다음 내용에 적합한 용어
- 대용량 데이터를 분산 처리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된 프로그래밍 모델 - Google에 의해 고안된 기술로써 대표적인 대용량 데이터 처리를 위한 병렬 처리 기법을 제공한다 - 임의의 순서로 정렬된 데이터를 분산 처리하고 이를 다시 합치는 과정을 거친다 => MapReduce
- 100 : 소프트웨어 프로세스에 대한 개선 및 능력 측정 기준에 대한 국제 표준 => SPICE